꾸준히 증가하는

국내 골목길폭력 피해율


mobile background

> 꾸준히 증가하는 국내 골목길폭력 피해율이 9년만에 최대치 기록

> 골목길폭력 전수 조사 실시 2013년 2.2% 이후로 역대 2번째로 높은 2022년 1.7% 기록

일반 폭력, 학교 폭력을 넘어 여성안심귀가길까지

다양한 형태의 골목길 안전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언어 폭력


집단 따돌림

스토킹

금품 갈취

성폭력
자세히보기
골목길폭력 중 신체폭력 예방의 중요성

피해유형별 응답 비중

언어폭력(41.8%), 신체폭력(14.6%),

집단따돌림(13.3%) 순

신체폭력의 비중

21년 대비 집단따돌림(14.5%→13.3%),

사이버폭력(9.8%→9.6%)의 비중은 감소  

신체폭력(12.4 →14.6%)의 비중은 증가

2022년 피해 응답률 증가(1.1%→1.7%)

신체폭력 비중의 증가(12.4%-> 14.6%)에

큰 영향을 받음


객체 탐지 알람 서비스

객체 탐지 기술을 적용한 감지 서비스


자세히보기

안전통합플랫폼

골목길폭력, 이상행동, 흡연 등 감지 서비스를 한 눈에 관제하는 통합관제 플랫폼

자세히보기

자세히보기
폭력 감지 영상
자세히보기
쓰러짐 감지 영상
자세히보기
쓰러짐 감지 파이프라인
폭력, 넘어짐 등의 이상행동 감지
딥러닝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기반 Open pose 기술을 활용하여 폭력, 넘어짐 등의 상황을 높은 정확도로 감지 가능
사람의 keypoint를 먼저 예측하고 관계를 분석하여 pose를 예측하는 Bottom-up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간 행동 감지가 가능
폭력 감지: ① 다양한 폭력 keypoint 학습 → ② CCTV 상에서 Pose estimation을 통해 폭력을 감지
→ ③ 가해자와 피해자를 그룹화 → ④ 다음 프레임까지 추적하며 폭력의 실시간 정보화 수행
쓰러짐 감지: ① 다양한 쓰러짐 keypoint 학습 → ② CCTV 상에서 쓰러짐 발생 시 실시간 정보화 수행

골목길 방법관제 Ai 프로세스


>>

골목길 및

각종 사각지대 CCTV

다양한 폭력 상황 감지

집단, 쓰러짐 등 이상행동 감지


모니터링 및 경보




토브넷 골목길방범관제 AI 솔루션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

+ 감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 했어요.
· 실시간으로 keypoint를 예측하고 관계를 분석하여 pose를 예측하는 Bottom-up 방식 채택하여 해결
+ 정확도의 문제점을 해결 했어요.
· 폭력, 쓰러짐을 감지하기 위한 전용 앙상블 모델을 개발하여 빠른 인식속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정확도를 높임
+ 폭력 감지의 문제점을 해결 했어요.
· 폭력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그룹화하여 하나의 사건으로서 이벤트가 발생함으로 해결
+ 정확도의 문제점을 해결 했어요.
· Auto deep learning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CCTV 각도 및 조도에 대해 강건한 모델 개발
+ 객체 분류의 문제점을 해결 했어요.
· Monocular depth estimation 기술을 적용하여 영상 내의 객체 간 거리를 판별하고 정확한 객체 분류 가능
+ CCTV 비용적 문제점을 해결 했어요.
· 기존 구축된 교내 CCTV 및 네트워크를 활용한 분석 서버 구축으로 추가 설치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
+ 서버 장비의 문제점을 해결 했어요.
· 최대 50대의 CCTV를 동시에 분석하는 서버 구축
+ 모니터링을 자동화 하였습니다.
· 자동화 분석 서버를 기반으로 이벤트를 실시간 감지하고 사전 대응을 위한 정보화 기술 제공
+ 인력부분은 주야간 자동화 감지로 해결 했어요.
· 주야간 자동화 감지를 통해 모니터링 인력 불필요
+ 플랫폼의 다양화 하여 문제점을 해결했어요.
· 플랫폼 구축을 통해 폭력 이벤트의 시간별 및 사고 발생별 자동 분석 대시보드 제공
· 담당자에게 스마트폰으로 확인 하도록 구현하여 사용환경의 다양화 하였습니다.